 |
|
|
|
1. 짧은 속바지를 입고 브래지어로 바스트포인트를 고정시킨 다음에 긴 속바지를 입는다. 2. 속치마를 입는다. - 파티용 치마일 경우에는 속에 페치코트 대용인 무지기를 입는다. 3. 치마를 입는다. - 뒤트기 치마일 경우에는 뒷중심에서 양쪽으로 7㎝쯤 여며지게 입는다. 4. 속적삼을 입는다. 5. 버선을 신는다. - 이 때 주의할 점은 수눅이 중앙을 마주 보도록 기울어지게 신어야 한다. |
|
 | |
6. 저고리를 입는다. - 먼저 동정니를 맞추어 안고름을 매고, 다음에 겉고름을 맨다. 7. 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한다. - 특히 고대와 어께 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게 약간 앞으로 숙여 입는데, 치마허리가 저고리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하고, 치마 끝에 버선이 보이지 않도록 정리한다. 8. 노리개를 단다. - 노리개에 고리가 있을 때에는 고름 코를 들고 긴 고름에 고리를 건다. - 끈 고리일 경우에는 긴 고름에 고리를 끼워 놓고 고름을 맨다. 9. 두루마기를 입는다. - 외출할 때에는 두루마기 위에 머플러를 단정하게 매는 것이 예의이다. - 이와 같이 옷을 잘 입는다고 하는 것은 속옷부터 버선, 장신구에 이르기까지 깨끗하고 맵시있게 갖추어 입는 것이라 하겠다. - 한복 차림에서는 언제나 동정니, 고름, 도련, 치마 길이 등을 눈여겨 살피고, 몸가짐을 단정히 해야만 멋이 더 살아난다. | |
|
|
|
1. 내의나 속고의를 입는다. 2. 바지를 입는데, 앞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 둘레를 조절한다. 3. 저고리를 동정니가 잘 맞게 입는다. 4. 버선이나 양말을 신고 대님을 친다. 5. 조끼를 입는다. - 이 때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6. 마고자를 입는다. -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7. 두루마기를 입는다. -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어야 한다. |
|
 | | |
|
|
|
한복은 소재가 얇고 바느질이 섬세한 깨끼 바느질이 주종을 이루기 때문에 잦은 드라이 클리닝을 하면 탈색되거나 바느질이 상할 우려가 많다. 만약 파티에서나 식사시간에 음식을 먹다가 흘렸을 때 얼룩이 생기면 벤졸로 가볍게 문질러 주면 얼룩이 지워진다. 한복 세탁법은 소재에 따라 다른데, 천연섬유인 명주는 드라이 클리닝을 하는 것이 좋으며, 합성섬유는 손빨래를 해도 무방하다. 특히 손빨래를 할 경우 세탁기를 사용하면 옷감의 올이 튀거나 모양이 손상되기 쉬우므로 부드러운솔이나 손으로 살살 비벼서 빨아야 한다. | |
|
|
|
다림질을 할 때는 섶을 양쪽으로 젖혀놓은 후 도련이 겉으로 밀려 나오지 않게 안쪽에서 다리는데, 곡선 부분이 늘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치마는 안자락을 먼저 다리고 너무 누르지 않도록 한다. 동정은 입기 바로 전에 반듯하게 달아야 목선이 아름다워 보인다. 저고리의 겨드랑이 부분에 물수건을 대고 두세번 다림질을 해주면 말라도 흉하지 않게 된다. - 특히 다림질시에 얇은 천으로 덧대고 다림질을 해야 원단의 번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