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예복으로 길례와, 가례에 입는 옷이 다르고, 상례와 제례에 입는 옷이 달랐다. 근례를 들면, 길례에는 도포, 중치막이나 두루마기를 입고 갓을 썼으며, 가례에는 흉배를 단 단령복에 각대를 띠고 사모를 썼다. 제례에는 흰 도포나 두루마기를 입고 갓을 썼으며, 상례에는 이에 따른 상복이 따로 있었다. 평상복으로는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를 입고, 여름에는 적삼에 홑조끼를 입었다. 그리고 안목 있는 집안에서는 두루마기에 갓이나 관을 쓰고 있었다. 특히 두루마기는 외출할 때에는 계절에 관계없이 입게 되어 있었으며, 남의 집을 심방할 경우 벗는 법이 아니었다. 이 때의 속옷은 속고의, 적삼 등이었다.
|
|
 | | |
|
 |
|
 |
|
예복으로 소례복, 대례복이 있고, 상계에는 이에 따른 상복이 있었다. 소례복은 초록색 당의에 화관이나 족두리를 썼으며, 대례복은 다홍색 활옷에 화관을 쓰거나 초록색 원삼에 족두리를 썼다. 그리고 저고리는 삼회장저고리이며, 치마는 스란치마 아니면 대란치마를 입었는데, 소례복에서는 스란치마를 입었다. 무지기는 허리 부분을, 대슘치마는 아랫도리를 버티어 주었다. 여자 두루마기는 방한용이어서, 남자의 경우에서와 같이 남의 집에 가서도 꼭 입고 있어야 할 필요는 없었다. 그런데 여자 옷에 있어서의 특징은 속옷의 가짓수에 있다. 하의로는 단속곳, 바지 또는 고쟁이, 속속곳, 다리속곳, 너른바지와 어깨허리의 속치마이며, 상의로는 속적삼과 겨드랑이 및 가슴 가리개용 허리띠가 그것이다. | | |
| |
|
|
|
상의로서의 저고리는 원시시대의 관두의에서 차차 발달하였다고 보며, 오늘날의 짧은 저고리가 되었다. 저고리의 구성은 몸체를 이루고 있는 몸판, 깃, 여밈 부분의 섶, 팔 부분의 소매통 등으로 대별된다. 이 중에서 가장 변화의 폭이 심한 곳은 저고리 길이와 도련, 소매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섶은 저고리의 좌우에 각각 달리는데 기능적으로 양쪽의 앞을 여미는 여분이 되며, 미적으로도 변화의 선으로 형태미를 부여할 수 있다. 깃은 앞몸판에서 뒷몸판까지 연결되어 목둘레를 장식하며 한국 복식의 형태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 중이 하나이다. |
|
 | |
옷고름은 기능적으로 의복을 정돈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으나 후대에 갈수록 저고리의 길이는 짧아지고 옷고름은 점차 길어지면서 장식적인 역할을 하였다. 남자 저고리는 여성복식과 마찬가지로 바지 위에 입는 남성들의 상의이다. 삼국시대의 긴 저고리리가 조선시대에 오면서 그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깃, 안섶과 겉섶, 품 등이 넓어지면서 변화를 계속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저고리는 소재, 재봉법, 모양에 따라 여 러종류가 있는데 홑·겹·솜·누비 저고리는 소재의 두께와 재봉법에 따라 나눈 종류이고, 저고리 각 부분에 다른 색의 감을 쓴 데에 따라 민저고리, 반회장저고리, 삼회장저고리로 나누었다. | |
|
 |
|
 |
|
치마는 저고리의 아래에 입는 여성의 하의로 유동적인 곡선미가 뛰어난 옷으로 형태는 치마의 몸체와 허리띠, 끈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모습은 허리에서 부터 치마끝단에 이르기까지 잔주름이 있고 밑에는 선이 물러제 있었다. 치마의 폭은 평면의 천을 이용하여 그대로 쓰지만 상부에 주름을 잘게 잡아 허리띠의 속으로 집어넣는다. | | |
|
|
|
바지는 남성들의 외의(外衣)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착용되었고 고의라고도 불리어진다.남자의 경우 바지는 계속 겉옷으로 착용되어 조선시대에 이르러 양각이 분리된 형태, 앞뒤가 절개된 형태, 사폭(斜幅)으로 구성된 형태로 변화하였다. |
|
 | | |
|
 |
|
 |
|
저고리와 바지 위에 입는 두루마기는 이미 상고시대 부터 입어온 우리의 민족복이다. 두루마기는 추위를 막기 위한 방한용으로 착용하였으나 후대에 내려오면서 예를 갖추기 위한 의례복으로 그 착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두루마기는 남자의 의례적인 옷이므로 외출할 때는 반드시 입고, 머플러는 단정히 매는 것이 예의이다. 또 두루마기는 실내에서 제사를 지내거나 세배할때 착용한다. 두루마기의 종류로는 박이 두루마기(여름용)와과 홑단 두루마기(춘추용)가 있다. | | |
|
|
|
원래 마고자는 만주인의 의복이었으나 대원군이 만주 보정부에서 유거 생활에서 풀려나와 귀국할때 입고 돌아오면서 널리 착용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말기 이후에 특수계층의 집안에서 방한을 겸한 사치복으로 등장 했었다. | |
|
 |
|
실내에서 방한용으로 입는 덧저고리 였는데 요즘은 외출용으로 쌀쌀한 늦봄과 이른 가을에 입으므로 치마 저고리의 감과 색이 잘 어울리는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형태는 저고리와 같으나 깃과 섶 옷고름이 없다. | |
|
|
|
당의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여자들이 입었다. 소례복으로 저고리를 입은 위로 덧 입었다. 보통 겉은 포록이나 연두색으로 하고 안은 다홍색을 넣으며 자주색 고름을 달고 소매 끝에는 끝동과 같이 흰색 거들지를 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여기에 황후는 금실로 용을 수놓은 흉배를 가슴과 등 그리고 양 어깨에 달아 입었다. | |
|
 |
|
 |
|
버선은 수눅의 방향이 오른발은 오른쪽으로, 왼발은 왼쪽으로 가도록 양쪽으로 잘 잡아 당겨 신는다. 형태는 모두 같으나 남자용 버선은 수눅이 곧다. 발길이와 발의 볼 둘레를 재서 만든 버선은 신기가 편리하고 실내화가 없는 우리나라의 좌식 생활에 보온용 으로도 쓸모가 있다. 마고자는 일명 덧저고리 라고도 불리며 용도에 따라 재봉법이 다르고 방한용으로 남녀가 같이 널리 착용 되고 있으며 남자에 있어서 저고리 위에 조끼를 입고 그 위에 덧입는 옷이므로 옷의 모양을 갖추기 위해서 입기도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