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식전 주의사항
1. 속옷을 잘 갖추어 입는 신부가 되자.
신부가 이동하게 되면 드레스를 들게 되는데 , 그때 보이는 속옷이나 청바지가 보는 이로 하여금 눈쌀을 찌푸리게 한다.
그로인해 순수하고 아름다워야 할 신부의 모습이 깨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신부는 패치코트 안에 불투명 타이즈나 레이스가 달린 속바지를 입어 보는이로 하여금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주의하자.
2. 예식 시작 적어도 15분전에는 반드시 입석하도록 한다. 신랑, 신부뿐만 아니라 양가의 부모님 역시 예식 시작 15분전 입실한다.
예식 도우미들의 안내를 따라 자기 자리를 지켜 예식시작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결혼식 당일 준비 사항
(1)신부의 준비
신부의 준비는 오래 걸리므로 일찍부터 서둘러야 한다.
점검 표를 지참하여 수시로 살펴보아 잊는 것이 없도록 한다.
교통이 혼잡할 경우까지 대비하여 예식 30분전에 식장에 도착한다.
대기실에 조용히 앉아 친지들의 축하인사를 받는다.
(2)신랑의 준비
이발을 하고 예복을 갖춰 입고 예식 30분전에 도착하여 식이 시작될 때까지
부모님과 식장입구에서 손님을 맞는다.
(3)양가부모님의 준비
예식 1시간 전쯤에 식장에 도착하여 양가부모가 서로 인사를 나누고
예식진행자의 도착을 확인하고 손님을 맞는다.
(4)사회자의 준비
당일에 3O분이나 1시간쯤 일찍 가서 식장내부를 익혀두고
조명. 마이크, 좌석, 준비물을 미리 검토하고 식장 측과 의논한다.
결혼식을 위한 점검
(1)결혼식을 돕는 분들
주례, 사회, 연주자, 피아노, 축가, 화동, 하객안내, 축의금접수,
신부도우미, 신랑도우미, 촬영기사, 스냅사진 찍을 친구, 미용실.
예식장 운전, 신혼여행 운전, 피로연 음식 담당, 신 랑. 신부, 친구 뒤풀이, 기타
(2)신부에게 필요한 의상과 소품
드레스, 베일, 스타킹, 웨딩슈즈, 웨딩장갑, 신부 부케, 한복, 한복속옷, 버선, 예복, 핸드백,
신발, 예복용 속옷, 예복용 액세서리, 손수건
(3)신랑에게 필요한 의상과 소품
턱시도, 신랑 부토니아, 흰 장갑, 와이셔츠, 한복, 버선, 양복, 손수건
(4)그 밖의 소품
성혼선언문, 화동 부케, 주례 꽃, 양가 부모님 꽃, 사회자 꽃, 꽃길, 식장 꽃 장식, 예물반지,
장갑, 방명록, 필기도구, 축의금 접수 노트, 흰 봉투, 답례품, 사례비, 축포
(5)피로연 준비
피로연 음식, 웨딩 케이크, 샴페인, 얼음 조각
(6)기타
폐백준비, 폐백의상, 폐백음식, 폐백실 대여, 폐백 술
(7)그 밖의 준비
화장, 헤어, 마사지, 신혼여행 준비물, 차량, 뒤풀이 비용
(8)특히 신랑이 챙겨야 할 것
1. 예식30분전에 도착하여 하객들과 인사를 나눈다.
2. 웨딩 카가 준비되었는지 체크한다.
3. 신부에게 끼워줄 결혼반지를 챙겨둔다.
4. 장인, 장모님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5. 주례자가 도착했는지 확인한다.
6. 사회자의 진행순서를 체크한다.
7. 친구들과 피로연 장소와 비용을 체크한다.
1. 촛불.점화 양가의 어머니가 식단 위에 있는 촛불에 불을 붙인다.
(신랑 어머니는 청색의 초에, 신부 어머니는 홍색의 초에 촛불을 켠다)
2. 개식 선언 결혼식 시간이 되면 사회자는 좌석을 정돈하고 개식을 선언을 한 후에 식을 진행하고 주례 선생님을 소개한다.(사전에 약력을 전달 받으세요)
3. 개식 시간을 엄수해서 결혼식 시간에 쫓기는 일이 없도록 한다.
4. 신랑 입장 사회자가 신랑입장을 알리면 신랑이 주례 앞으로 걸어 나간다.
5. 주례 앞에 다가가서는 주례를 향해 고개 숙여 인사하고 단에 올라 내빈을 향해 바라보고 오른쪽으로 서서 신부를 맞이할 준비를 한다.
6. 신부 입장 웨딩마치가 울려 퍼지면 신부는 보호자와 함께 천천히 걸어 나온다.
7. 신랑은 신부가 단 가까이 오게 되면 단 아?로 내려가 신부의 보호자에게 인사하고 신부를 부축하여 함께 나란히 주례 앞에 선다.
8. 하객석을 기준으로 했을때 신랑은 왼쪽, 신부는 오른쪽에 선다.
9. 신랑, 신부 맞절 서로 부딪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45 정도의 각도로 허리를 굽혀 맞절한다.
10. 혼인 서약 주례가 일정한 서약서를 읽고 물으면 신랑, 신부는 또렷한 목소리를 "예"하고 대답한다.
11. 성혼선언문낭독 주례가 성립된 결혼을 선언한다.
12. 주례사 신랑 신부는 겸손한 자세로 주례사를 경청한다.
13. 이벤트 주례사가 끝난 후 축가, 답가 등 축하행사를 진행한다(이 부분은 예식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14. 내빈께 인사 주례의 지시에 따라 신랑 신부가 돌아서 내빈을 향해 부부로서의 첫인사를 한다.
15. 신랑 신부 행진 주례의 폐식 선언과 함께 행진곡에 맞춰 신랑 신부는 통로를 행진한다.
16. 폐식 결혼식이 끝났음을 사회자가 알린다. 사회자는 양가의 피로연 장소를 안내해 줄 수 있다
17. 모든 예식 절차가 끝난후 결혼 기념 사진 (주례선생님과,양가친척,친구들)을 촬영한다.
18. 폐백실로 이동하여 시댁식구들에게 폐백을 드린다.
사회안내 |
잠시 안내의 말씀 드리겠습니다. 양가 어머님의 촛불점화가 끝난 후 |
사회 개회식 |
그럼 지금부터 양가어르신과 일가 친척 그리고 내빈 여러분을 |
신랑입장 |
먼저 신랑 입장이 있겠습니다 신랑입장! |
신부입장 |
다음은 신부입장이 있겠습니다. 신부입장! |
사회 |
이어서 신랑 신부의 맞절이 있겠습니다. |
주례 |
신랑신부는 평소 인사를 많이 하였겠으나 오늘은 양가 부모님과 |
사회 |
다음은 신랑 신부 혼인서약이 있겠습니다 |
주례 |
신랑 000군과 000양의 혼인서약을 하겠습니다. |
사회 |
이어서 성혼선언문 낭독이 있겠습니다. |
주례 |
오늘 내빈여러분이 지켜보는 가운데 신랑신부가 혼인을 서약했습니다 |
사회 |
다음은 000 선생님의 주례사가 있겠습니다 |
사회 |
000 주례선생님의 주옥같은 말씀 감사합니다. |
사회 |
다음은 신랑 신부 양가 부모님께 인사가 있겠습니다. |
주례 |
먼저 신부 부모님을 향해 인사하겠습니다. |
사회 |
다음은 신랑신부 내빈께 인사가 있겠습니다. |
주례 |
신랑신부가 인사 올릴때 양가 부모님도 함께 나오셔서 내빈께 인사를 하시겠습니다. 오늘 이처럼 원근각지에서 저희들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참석해 주신 내빈여러분 감사하다는 뜻으로 인사를 하십시오. |
사회 |
이어서 신랑 신부의 희망 찬 미래를 향한 행진이 있겠습니다 |
사회 |
내빈 축사. 오늘의 두 사람의 성스러운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신랑 은사님의 축사가 있겠습니다. |
사회 |
이상으로 신랑 000군과 신부000양의 결혼식을 모두 마치고 신랑 신부 새 인생의 힘찬 항해를 위해 출발하겠습니다. |
사회 |
이것으로서 000군과 000양의 결혼식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
예식진행중 주의사항
1.화촉 점화
결혼식이 시작되면 제일 먼저 양가 모친이 화촉 점화를 하게 된다.
신랑의 어머니는 왼쪽에, 신부의 어머니는 오른쪽에 서서 손을 맞잡고 단상에 준비되어 있는 청초(신랑측 어머니가 점화),홍초(신부측 어머니가 점화)에 불을 붙인다.
양가 모친의 화촉 점화가 끝나면 단상 앞쪽으로 나와 먼저 맞절을 하고, 그뒤 하객들을 향해 인사를 올린후 혼주석에 착석한다.
보통 예식장의 경우 안내원들이 양가의 모친이 입장하기 전 이와 같은 사항을 설명해 주지만,
가끔 화촉을 바꿔 점화 하거나 , 맞절 없이 그냥 자리에 앉는 경우가 발생하여 하객들의 웃음을 자아내기도 한다.
웨딩홀 도우미를 통해 어머님 들께 자세히 설명을 드린 뒤 예식이 시작되기 전 한번 정도 리허설을 갖는 것이 좋다.
2.신랑 입장시
'신랑 입장!' 이란 사회자의 말이 떨어지면 대부분의 신랑들은 간장한 나머지 빨리 걷는 경향이 있는데 음악 리듬에 맞춰 천천히 단상까지 걸어가야 한다.
주례 앞에 서면 제일 먼저 주례를 향해 인사를 한뒤 하객을 향해 다시 한번 인사를 하고 오른쪽에 서서 신부를 맞이할 준비를 한다.
3.신부 입장시
신부 입장 시 아버지가 신부의 오른쪽에 서서 왼손을 내밀면 신부는 왼손으로는 드레스와 부케를 잡고 오른손을 얹는다.
보폭은 신랑보다 훤씬 작아야 하며 신부 아버지께서는 신부의 보폭에 맞춰 천천히 입장하면 무난하다.
4. 신부를 인도할 때
신부와 신부 부친이 입장할 때 여유로운 마음으로 기다리다 신부가 꽃길의 중앙정도에 도착하면 단상에서 내려와 있다가 신부 부친이 신부의 손을 쥐어줄 때까지 기다린다.
신부가 단상 가까이 도착하면 (꽃길 앞쪽에서 두세번째정도) 신랑은 단 아래로 내려와 신부의 아버지께인사를 하고 신부의 손을 잡아 단상위로 올라간다.
5. 신부와 단상 위로 올라갈 때
신부를 인도받은 신랑은 신부가 팔짱을 끼자마자 빠른 걸음으로 단상 위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으나 신부는 드레스, 베일 , 부케 때문에 행동하기가 무척 불편하니
옷을 정리하고 신랑의 팔짱을 낄 수 있도록 웨딩 드레스 앞자락을 잡아주어 이동하기 편하도록 돕는다.
6. 주례를 향해 서있을 때
신랑 신부의 위치는 주례를 향해 섰을때 신랑은 왼쪽, 신부는 오른쪽에 자리한다.
7. 맞절 순서 때는 한발자국씩 뒤로 물러선다.
신랑 신부가 단상위에 서게 되면 제일 먼저 주례를 향해 인사를 드린다.
인사를 받는 주례는 신랑 신부에게 맞절을 지시하는데 이때 신랑 신부는 한걸음씩 뒤로 물러나지 않으면 머리를 부딪히는 경우가 생긴다.
8. 축가 연주나 축가를 들을 때
축가나 축하연주가 시작되면 신랑,신부는 물론 주례자도 연주 방향으로 비스듬히 몸을 돌려 연주가 끝날때까지 경청한다.
9. 부모님께 인사는 신부쪽 부터 한다.
주례가 끝나고 양가 부모님과 하객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신부측 부모님께 우선으로 인사를 드리고, 신랑측, 하객분들 순으로 인사를 드린다.
10. 하객들에게 인사
신랑 신부가 인사할 때는 두 사람이 비슷한 각도로 인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45도 정도의 각도로 천천히 그리고 나란히 인사하는 것이 좋다.
11. 신랑 신부가 행진
너무 긴장하여 딱딱한 얼굴로 퇴장하는것 보다는 미소를 짓거나 이야기를 나누며 행진하는것이 훨씬 자연스러워 보인다.
요즘은 신랑 신부의 뒤에 양가 가족들이 함께 퇴장하는 경우도 있다.
12. 부케를 던질때
부케를 던질 때는 자신의 왼쪽 어깨선을 뒤로 바라보면서 받을 친구의 위치를 확인한후 부케를 양손으로 잡고 살며시 던져주면 된다.
부케를 던질 때에는 받는 친구를 고려하여 너무 멀리 던지거나 가깝게 던지지 말고 천천히 위치를 확인하여 살며시 던져준다.
13. 폐백
예식이 끝나면 보통 폐백을 드린다.(요즘은 신부가 파티 드레스로 갈아입고 오신 하객들이 가시기전 식당으로 가서 인사를 드리는 경우도 있다.)
시부모님께 드리는 신부의 첫인사는 보통 4배를 하게 되어 있으나 요즘은 2배로 간소화시키는 경우도 많다.
신부가 시부모에게 4배를 드린 다음 자리에 앉으면, 시아버지는 대추 몇개를 집어 신부의 치마 앞에 던져주며 덕담을 하고 수모는 그 대추를 집어 신부의 원삼 큰 소매 속에 넣어준다.
만일 시아버지가 계시지 않을 때에는 폐백상에 대추를 사용하지 않고 시어머니 께만 폐백을 올린다. 시어머니가 안계실 경우는 반대로 포를 사용하지 않는다.
시부모와 시조부모에 대한 폐백이 끝나면 다른 친척들에게 폐백을 드리게 한다.
항렬이 높은 친척일 경우 신부는 평절로 하고, 상대는 받기만 하고 같은 항렬에서는 맞절을 하여 서로 예를 갖춘다.
신부는 폐백을 드릴 때 수모의 도움을 받는데, 앉을 때는 수모가 먼저, 일어설때는 신부가 먼저 일어난다.
절을 할때는 고객을 숙이지 않고 팔만 올렸다 내렸다 하면 된다.
14. 피로연장으로 옮길 때
보통 피로연장으로 옮길 때는 예복으로 갈아입는 경우가 많은데, 신부는 애프터 드레스로 갈아 입고 신랑도 타이와 베스트를 바꿔 입고 피로연장에 나타나는 것이 정석이다.
애프터 드레스가 없다면, 한복을 입는 것도 보기에 좋다.신랑 신부는 하객들에게 정성껏 인사를 한다.
'# my겔러리 # > ** (웨딩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첩장 카피모음** (0) | 2010.02.04 |
---|---|
** 예단 ** (0) | 2010.02.04 |
[스크랩] 19 - 함들이기 (0) | 2010.02.04 |
[스크랩] 18 - 예단보내기 (0) | 2010.02.04 |
[스크랩] 16 - 폐백, 이바지 주문 (0) | 2010.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