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밖의 풍경 #/** 내 영혼의 쉼터 **

** 장영희 교수//

flower1004 2009. 7. 2. 13:37




      
      
       
       <샘터>의 오랜 독자들은 나를 기억할지도 모른다. 2003년 12월 ‘아름다운 빚’이라는 
      글로 나는 당시 4년간 연재하던 ‘새벽의 창’을 닫았다. 그리고 꼭 3년 만에 나는 이렇
      게 다시 나타났다. ‘다시 나타났다’는 말을 쓰니 정말 홀연히 바람처럼 사라졌다가 불
      현듯 모습을 드러낸 느낌이 드는데, 어쩌면 나의 ‘공백기’를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말인지도 모른다. 
      그리 짧지도, 그렇다고 그다지 긴 시간도 아닌 3년, 젊은 사람들에게 3년의 인생은 
      드라마를 창출할 만큼 긴 시간이다. 새로 군대에 간 남학생이 전역할 만한 시간이고 
      새 신부가 아기 둘을 낳을 만한 시간이고, 신참 사원이 잘 하면 대리가 될 수 있는 시
      간이고, 아, 그리고 우리 학생들을 보면 누군가를 만나 사랑하고 아픈 이별을 하고 
      또 다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하기에도 충분한 세월일 만큼, 3년이라는 기간
      은 의미심장할 수 있다. 
      
      (Vincent Willem van Gogh / "Cafe Terrace on the Place du Forum") 
       하지만 내 나이에 3년이란 세월은 그렇지 않다. 신상에 무슨 커다란 변화를 기대하
      기보다 이미 오랜 세월을 걸쳐 설정된 삶의 자리가 그냥 ‘조금 더’ 깊어지는 기간이다.
       ‘조금 더’ 포기하고 ‘조금 더’ 집착의 끈을 놓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샘터>에서 사라졌던 지난 3년 동안 나는 내 인생의 가장 
      큰 변화를 겪었다. 칼럼을 닫고 나서 얼마 후에 나는 척추 암 선고를 받고 2004년 9
      월 8일 갑작스레 병원에 입원했고, 2006년 5월, 도합 스물네 번의 항암치료를 마칠 
      때까지, 거의 2년에 가까운 시간을 나는 긴긴 투병생활로 보냈다. 
      
      ( Vincent Van Gogh / "First Steps") 
       돌아보면 그 긴 터널을 어떻게 지나왔는지 새삼 신기하지만, 이상하게도 나는 지난 
      3년이 마치 꿈을 꾼 듯, 희끄무레한 안개에 휩싸인 듯, 선명하게 내 기억에 남아 있
      지 않다. 통증 때문에 돌아눕지도 못하고 꼼짝없이 침대에 누워 있던 일, 항암치료를 
      받기 위해 백혈구 수치 때문에 식도가 타서 물 한 모금 넘기는 것이 고통스러워 밥그
      릇만 봐도 헛구역질하던 일, 그런 일들은 마치 의도적 기억상실증처럼 내 기억 한편
      의 망각의 세계에 돌아가서 가끔씩 구태여 끄집어내야 잠깐씩 회생되는 파편일 뿐이
      다. 
      
      (Winslow Homer / "Boys In A Pasture") 
        그 세월은 단지 가슴 뻐근한 그리움으로만 기억될 뿐이다. 네 면의 회벽에 둘러싸
      인 방에 세상과 단절되어 있으면서 나는 바깥세상이 그리웠다. 밤에 눈을 감고 있을
      라치면 밖에서 들리는 연고적 연습의 함성소리, 그 생명의 힘이 부러웠고, 창밖으로 
      보이는 파란 하늘 아래 드넓은 공간, 그 속을 마음대로 걸을 수 있는 무한한 자유가 
      그리웠고, 무엇보다 아침에 일어나 밥 먹고 늦어서 허둥대며 학교 가서 가르치는, 
      그 김빠진 일상이 미치도록 그리웠다. 그리고 그런 모든 일상-바쁘게 일하고 사람들
      을 만나고 누군가를 좋아하고 누군가를 미워하고--을, 그렇게 아름다운 일을, 그렇게 
      소중한 일을 마치 아무 일도 아니라는 듯, 태연히 행하고 있는 바깥세상 사람들이 끝
      없이 질투 나고 부러웠다. 
      
      ( Gillis van Tilborgh / "A Flemish Family at Dinner")
       하루는 저녁 무렵에 TV를 보는데 유명한 보쌈집을 소개하는 프로가 방영되었다. 보
      쌈 만드는 과정을 소개한 다음, 손님 중 어느 중년 남자가 목젖이 보일 정도로 입을 한
      껏 크게 벌리고 큰 보쌈을 입에 가득 넣고 씹어서 꿀꺽 삼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상갓집에 가면 보통 육개장, 송편, 전 등, 자금자금한 음식들이 나오고 상추쌈이나 갈
      비찜처럼 큰 덩어리 음식은 나오지 않는다. 
      거기에는 이유가 있는데, 상갓집에서 입을 크게 벌리고 먹는 것은 죽은 사람에 대한 
      예의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한다. 미련을 남긴 채 이 세상을 하직하고 이제는 아무리 
      하찮은 음식일지라도 하나도 먹을 수 없는 망자 앞에서 보란 듯이 입을 크게 쩍 벌리
      고 어적어적 먹는 것은 무언의 횡포라는 것이다. 
      
       (Vincent Van Gogh / "Farmers Planting Potatoes")
       그만큼 나도 보쌈을 먹고자 입을 크게 벌리는 그 남자의 탐스러운 식탐, 꿀꺽 삼키고 
      나서 그의 얼굴에 감도는 그 찬란한 희열, 그 숭고한 삶의 증거에 지독한 박탈감을 느
      꼈다. 그리고 마음속으로 다짐했다. 무슨 일이 있어도 난 바깥세상으로 다시 나가리라. 
      그리고 저 치열하고 아름다운 일상으로 다시 돌아가리라. 
       그리고 난 이렇게 다시 나타났다. 나의 본래 자리로 돌아왔다. 다시 강단으로 돌아왔고, 
      아침에 밥 먹고 늦어서 허겁지겁 학교 가는 내 일상으로 돌아왔고, 목젖이 보이게 입을 
      크게 벌리고 보쌈도 먹고 상추쌈도 먹고 갈비찜도 먹는다. 뿐인가, 2007년의 시작과 함께 
      그동안 마치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이렇게 3년 전에 끝냈던 ‘새벽 창가에서’칼럼까지 다
      시 시작한다. 
      
      (Monica Vanzant / "Homeward Bound After The Storm")
       ‘어부’라는 시에서 김종삼 시인은 말했다. 
      “바닷가에 매어둔 작은 고깃배. / 
      날마다 출렁인다./풍랑에 뒤집 힐 때도 있다. / 
      화사한 날을 기다리고 있다.  
      (중략) 살아온 기적이 살아갈 기적인 된다. / 
      사노라면. / 많은 기쁨이 있다.” 
      
      (Annibale Carracci  / Fishing detail)
      맞다. 지난 3년간 내가 살아온 나날은 어쩌면 기적인지도 모른다. 힘들어서, 아파서, 
      너무 짐이 무거워서 어떻게 살까 늘 노심초사하고 고통의 나날이 끝나지 않을 것 같
      았는데, 결국은 하루하루를 성실하게, 열심히 살며 잘 이겨냈다. 그리고 이제 그런
      내공의 힘으로 새해에는 더욱 아름다운 기적을 만들어갈 것이다. 내 옆을 지켜주
      는 사랑하는 사람들, 그리고 다시 만난 <샘터> 독자들과 함께 삶의 그 많은 기쁨을 
      누리기 위하여. 
      
       Stephen  Foster -
      "Hard Times Come Again No More"  (어려운 시절은 지나가고  )
       
      / Thomas Hampson (Bar)
      
      (출처 : 웹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