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요한.... #/**질병 정보**

** 천식 **

flower1004 2007. 6. 22. 23:36



















정의 (Definition)

천식이란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호흡곤란을 말한다. 즉, 숨이 몹시 차고 기침을 하는 병으로 가래가 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원인 (Cause)

기관지천식은 유전병은 아니지만 환자의 자녀들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체질적으로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천식의 발병에는 체질적인 요인만 관여하는 것은 아니며 먼지, 꽃가루, 곰팡이, 음식, 세균 등의 환경적 요인도 중요하다.

환경적 요인중 하나가 알레르겐 이라고 부르는 공기 중 물질이다. 꽃가루, 먼지, 진드기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일부 환자에서는 이들 알레르겐이 면역반응을 일으켜 기관지의 염증을 초래한다. 성인 환자의 경우 약 1/3에서 알레르겐이 문제가 된다.

증상 (Symptom)

기관지천식의 특징적인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가래 및 가슴에서 쌕쌕소리(천명음)가 나는 것이다. 천식의 증상이 고정됐을 때는 기침과 담이 나오고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것, 기침과 담이 나오는 것, 기침만 콜록콜록하는 것, 목에 가래가 끓는 소리만 나는 것 등의 4가지 증상으로 나눌 수 있으나 때에 따라서는 번갈아 일어난다. 어느 경우이건 강약의 차이는 있으나 숨이 찬 증상이 따른다. 기침만 할 경우에는 진단하기 어려운 때도 있다. 이런 증상들은 간헐적으로 나타나거나 저절로 호전되기도 한다.

특히 야간에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운동할 때나 자극적인 냄새, 담배연기, 탁한 공기 등에 노출되면 호흡곤란 발작이 올 수 있고 감기를 앓고 나서 증상이 심해지는 수도 있다. 천식이 오래되면 합병증으로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폐기종, 폐성심(肺性心:폐의 질환이 원인이 되어서 심장이 악화된 상태), 자연기흉, 피하기종이 생길수 있다.

치료방법 (Treatment)

많은 천식환자들이 천식 발작이 있을 때만 일시적으로 치료하고 지내는데 이것은 올바른 천식 치료방법이 아니다. 천식 발작이 심해져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기도의 염증이 계속 되어 폐기능이 영구히 회복되지 않는 일이 생기기 때문이다.

천식의 치료에는 환경관리 및 악화요인 관리, 약물치료, 면역치료로 나누어 진다.

[환경관리 및 악화요인 관리]--천식의 증상을 생기게 하거나 악화시키는 환경요인(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등)을 제거하거나 그것과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아토피성 천식환자에게 있어서는 원인이 되는 알레르겐을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천식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들을 잘 관리 하여야 한다. 담배연기, 자극적인 냄새, 공해 등은 천식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들이다.

[약물치료]--천식의 주된 치료는 약물치료 이다. 천식의 치료제는 투약후 즉시 효과가 나타나서 증상을 완화시키는 속효성 약제와 장기적 투여로 기도의 알레르기 염증을 가라 앉히는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약은 천식 환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며, 급성 악화 증상이 있을 때 가장 유용하다.

[면역치료]--아토피성(외인성) 천식환자의 경우 약물치료만으로 증상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을 때 면역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면역치료는 원인이 되는 알레르겐을 아주 소량부터 피하주사 하여 서서히 증량시켜 나가는 것으로 적어도 3년∼5년 이상 시행해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치료법이다.

많은 경우 증상이 호전되어 다른 치료 약제를 줄이거나 끊을 수도 있다. 비아토피성(내인성) 천식환자는 원칙적으로 면역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아토피성 천식의 경우도 모든 환자에게 면역치료가 해당되지는 않는다.

민간요법

이하에서는 기관지천식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길경 (漢)桔梗 (同)도라지
폐 기운을 소통시켜 폐, 기관지, 인후의 염증을 제거하고 가래를 삭히는 작용을 한다. 가래가 나오는 기침 천식에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하루 15g을 달여서 2회로 나누어 먹는다.

행핵인 (漢)杏核仁 (同)살구씨
기침, 천식을 그치게 하고, 장을 윤기있게 해서 변비를 해소하는데 효과적이다. 감기 기침, 오래된 기침, 천식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하루 3-9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주의] 살구씨 알맹이로 약간의 독성이 있으니 주의한다.

상백피 (漢)桑白皮 (同)상근백피(桑根白皮), 뽕나무뿌리껍질
가슴의 열을 식혀서 천식을 가라앉히고 이뇨작용도 한다. 따라서 얼굴이 붓고 소변이 잘 안나오는 사람의 천식에 좋다. 혈압을 내리는 효과도 우수하다. 하루3-18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과루인 (漢)瓜蔞仁 (同)하늘타리씨
바짝 마른 가래가 목에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는 사람의 천식에 사용한다. 마른 가래를 윤기있게 해서 잘 배출시킨다. 하루 3-15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관동화 (漢)款冬花
매운 맛이 있어 가래를 잘 삭힌다. 또한 성질이 너무 건조하지도 않아서 몸에 피가 부족하거나 냉한 사람의 천식에도 효과적이다. 하루 3-9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백합 (漢)百合 (同)나리
심폐에 모두 작용하는데, 폐와 기관지를 윤기있게 해서 기침, 천식을 그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하루10-30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오미자 (漢)五味子
신맛으로 흩어진 폐기운을 수렴하고 진액을 만든다. 따라서 폐기가 약하여 오랫동안 기침을 하고, 입이 마르거나 진땀이 나고, 정액이 저절로 흐르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등 대체로 기능이 약화된 경우에 사용하면 효과적인다. 하루1.5-6g을 달이거나 물에 하룻밤 담궜다가 수시로 먹는다.

영지 (漢)靈芝 (同)영지초, 불로초, 만년버섯
혈압이 높고 흥분하기를 잘하는 사람의 천식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영지는 간의 염증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고혈압 환자의 경우 많이 먹으면 혈압을 낮출 수 있다. 하루 8-10g을 잘게 썰어 달여서 2-3회 나누어 먹는다.

시호 (漢)柴胡
정신적으로 흥분하여 천식이 발작하는 사람에게 사용하면 흥분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킨다. 그러한 작용으로 혈압을 내리는 효과도 있다. 하루 2.4-12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주의] 복용 후 기운이 떨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면 복용을 삼간다.

건강 (漢)乾薑 (同)마른생강
평소 손발이 차고 소화가 잘 안되어서 구역질이 나고 명치가 답답한 사람의 천식에 좋다. 천식이 오면서 가슴이 아플 때도 사용할 수 있다. 손발이 따뜻해질 때까지 평소에 차처럼 복용한다. 하루 3-12g을 달여서 음료수 대용으로 마신다.

인삼 (漢)人蔘
인삼은 기운을 돋우기도 하지만 폐, 기관지, 심장, 위장 등 가슴에 혈액성분이 되는 영양을 공급하는 작용도 하여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오랜 천식으로 무기력하고 갈증이 있는 사람에서 사용하면 좋다. 천식 발작기가 아닐 때 평소 차처럼 자주 먹는다. 하루 8-10g씩 달여서 2-3회로 나누어 먹는다.

마두령 (漢)馬兜鈴 (同)쥐방울
폐, 기관지의 열을 식혀서 기침, 천식을 멈추게 한다. 오래된 천식에 피 섞인 가래가 나올 때 좋다. 치질로 출혈이 있을 때도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하루 3-9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위가 약한 사람은 꿀로 버무려 볶아서 먹는다.

마황 (漢)麻黃
맵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발한시키면서 기관지를 확장시켜 천식을 치료한다. 체질이 약하지 않은 사람으로 감기 기운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고 오한, 발열하면서 몸이 쑤시기도 한 증상이 함께 나타나면 효과가 더욱 좋다. 먹은 후 땀이 나고 천식이 그치면 복용을 중지한다. 하루 1.5-9g을 1시간 정도 달여서 미리 만들어 두었다가 발작할 때 한 컵씩 마신다.

보골지 (漢)補骨脂 (同)파고지
보신장양(補腎壯陽)하는 보양약이다. 오랜 천식으로 원기가 손상되고, 기운이 흩어져 소변을 자주 보고 허리가 아프며 설사할 때 효과적이다. 하루 3-9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아교 (漢)阿膠
보혈, 지혈, 보음하는데 매우 효과가 좋다. 따라서 피가 부족하거나, 코피가 나거나, 마른기침이 나고 몸에 기운이 없을 때 사용하면 혈액을 도와서 폐, 기관지에 윤기를 주고 천식을 멈추게 한다. 가래를 삭히지는 못하기 때문에 가래가 없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하루 6-18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주의] 끈적거리는 성질이 있어서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

택란 (漢)澤蘭 (同)쉽사리
몸에 어혈이 있어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몸이 부을 때 사용하면 좋다. 보통은 산후 부종에 자주 사용되지만, 부으면서 숨이 찬 사람들이 먹어도 효과적이다. 하루 3-9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그 밖에 알로에, 독말풀잎 등도 기관지 천식에 좋다.

관련 논문
-치명적 천식 발작의 위험인자

[출처]중앙건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