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뮤지컬 |
|
|
공연명 |
뮤지컬 그리스 브로드웨이팀 내한공연 |
공연일정 |
2006년02월22일(수) ~ 03월23일(목) |
공연시간 |
평일 오후8시 / 화·토 4시, 8시 /
일·공휴일 2시, 6시(월 쉼) |
공연장소 |
충무아트홀 대극장 |
판매가격 |
R석 99,000원 / S석 77,000원 / A석 55,000
(화요일 낮공연, 2월24일 낮공연 전석 30%할인) |
홈페이지 |
|
예약문의 |
02 501 7888 |
About the Show 2006년 그리스 브로드웨이팀이 온다! 1972년 2월 14일 브로드웨이 에덴 씨어터(Eden Theater)에서
공연을 시작한 지 34년 만에 뮤지컬 그리스 브로드웨이팀이
한국 땅을 밟는다. 그리스는 미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뮤지컬 1위에 뽑히기도 할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
이번에 내한하는 뮤지컬 그리스 브로드웨이팀은
2002년 1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3년에 걸쳐
미국과 유럽에서 750회 이상의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시카고, 보스톤, 워싱턴 D.C등에서의 최고의 극장들을 비롯하여,
매년 아카데미 시상식이 유치되는 L.A의 KODAK공연장,
또 최고의 공연만이 올라갈 수 있다는
라스베가스에서도 공연되며 흥행가도를 달렸다.
그들의 도시별 주당 매출은
평균 100만불(한화 약 10억원)을 돌파,
3년간 총 8,400만불(한화 약 88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2007년, 다시 브로드웨이에서 공연되기에 앞서
미국, 유럽 투어를 마치고 이들은 이제 아시아 투어만을 남겨놓고 있다.
브로드웨이 공연 전, 한국을 시작으로 아시아 투어에 돌입하는
브로드웨이팀의 공연은 2006년 2월 한국 공연 후,
싱가포르, 홍콩, 베이징, 상하이, 마닐라 등에서 공연될 예정이다. 언제 어디서나 숱한 화제거리와 기록들을 남기는
뮤지컬 그리스. 과연 국내에서는
또 어떤 기록을 세울 수 있을 지 기대된다.
뮤지컬 스타 양성작 뮤지컬 그리스, 브로드웨이팀은 누구? 2003년 오디뮤지컬컴퍼니에서
그리스를 무대에 올린 이후
국내에서도 3년간 500회 이상 꾸준히 공연되며
약 6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그리스’=‘흥행불패’는 뮤지컬 계에서는
이미 공식화된 이야기이다.
뮤지컬 그리스는 흥행 성공뿐만 아니라
엄기준, 오만석, 이영미, 김태한, 조정석 등
신세대 뮤지컬 스타들을 키워내기도 하였다.
또한, 지현우, 조여정, 강지훈, 홍록기 등의 스타급들도
이 작품에 출연한 바 있다. 이번 내한 공연에 참여할 배우들은 모두 뉴욕에서 선발되었다.
특히, 여주인공 샌디 역을 맡은 Hanna Liina Vosa는
<헤어스프레이>의 페니,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마리아,
<크레이지포유>의 폴리 베이커, <레 미제라블>의 코제트,
<카바레>의 샐리 보울즈 역을 맡아
공연한 바 있는 스타 배우이다.
또한, 대니 주코 역의 Jamey Isenor는 그리스의 대니 역을 맡아
3년간 미국과 유럽 투어에서 열연한 바 있다.
또한 아이다(라다메스), 팬텀
(, 지저스크라이스트 슈퍼스타(예수)등 에 출연하여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이 밖에 미스 린치와 틴 엔젤 역에는
Mimi Jimenez가 캐스팅 되었는데
그녀는 지난 봄 FAME을 통해서
한국을 방문하여 뛰어난 가창력으로
국내 팬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브로드웨이의 그리스, 한국의 그리스 무엇이 다른가 국내의 그리스는 원작에 각색이 더해진 작품이다.
브로드웨이 버전과 한국 버전은
등장인물과 노래에서 조금씩 차이가 난다.
먼저, 한국 버전에는 없고
브로드웨이 버전에 나오는 배역은
자니 카지노와 틴엔젤이다.
한국 버전에서 자니 카지노 역은
빈스 폰테인과 합쳐져 파티 장면에서
자니 카지노의 노래는 빈스 폰테인이 부른다.
또, 뷰티 스쿨에서 낙방한 프렌치를 한국 버전에서는
두디가 달래주지만,
브로드웨이 버전에서는 상상 속의 인물 틴엔젤이
화려한 여인들과 나타나 프렌치를 만난다.
두번째로 한국 버전과 브로드웨이 버전에서
같은 장면에 다른 노래가 쓰이는 것도 있다.
대니와 샌디의 자동차 극장 데이트 장면.
한국에서는 이 장면에 ‘Sandy’라는 노래를 사용했지만
브로드웨이 버전에서는 ‘Alone at a Drive-In Movie’이 불려진다.
이 노래는 한국에서 한 번도 공연된 적 없는 노래로
국내 팬들에게는 신선한 경험이 될 것이다. 무대도 좀 더 커진다.
작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쓴 한국 무대와 달리
브로드웨이 버전은 무대 전환과 무대의 스케일이 커진다.
또 해외 장비와 스탭들의 내한으로
음악, 조명, 무대, 의상 등도
한국 버전과는 또 다른 느낌을 보여줄 듯하다. 그리스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사랑을 한 몸에 받은 뮤지컬이다.
브로드웨이 버전을 보면서 국내 버전과는 어떻게 다른지,
브로드웨이 버전보다 좀 더 속도감이 있고
배역의 캐릭터를 좀 더 분명히 했던 것이
원작의 느낌과 어떻게 다르게 펼쳐졌던 것인지
브로드웨이와 한국의 우열을 떠나서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2006년 뮤지컬 전쟁! 이제 2006년 1월 1일, 한국의 그리스는 막을 내린다.
2005년 5월부터 8개월간 꾸준히 사랑을 받아왔던
한국의 그리스 대신, 2월에 펼쳐질
그리스 브로드웨이팀 내한 공연이
그리스 팬들의 아쉬움을 달래줄 것이다.
내한 공연은 부산을 시작으로
서울, 성남, 대구에서 10주간 펼쳐질 예정이다.
‘뮤지컬 전쟁’이라는 단어에 걸맞게
국내에서는 2006년 시작과 함께 많은 뮤지컬들이 쏟아진다.
해외 내한 뮤지컬로 ‘렌트’, ‘노트르담 드 파리’, ‘십계’ ,
‘그리스’ 등이 공연되고,
조승우, 류정한의 ‘지킬앤하이드’,
2005년부터 계속되는 ‘아이다’, ‘프로듀서스’ 등
연초의 대격돌이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뮤지컬 그리스는 30,40대에게는 추억을,
10,20대에게는 공감을 선물할 수 있는 작품이다.
신나고 경쾌한 록큰롤 리듬과 화려한 안무,
꽉 짜여진 재미있는 스토리,
그리고 한국에는 없는 공연 전 15분간의 이벤트!
가족들과, 연인들과, 친구들과 함께 보기엔
더할 나위 없이 즐거운 시간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