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겔러리 #/**연극.혹은 뮤지컬..**

(연극 )**양희경의 늙은 창녀의 노래**

flower1004 2005. 12. 1. 15:12

 

1995그리고 지금 2005

10년만에 다시 부르는 양희경늙은 창녀의 노래

 

女子

우리가 그녀를 용서해야 할까요?

그녀가 우리를 용서해야 할까요?

 

男子

기구한 운명의 여자를 만나본 적 있나요?

꽃값을 내고 가슴아픈 운명을 맞이한 적 있나요?

 

우리는 오늘 그녀을 안고 싶습니다!

 

다재 다능한 열정의 여배우 희경 10년을 기다려온 최고의 무대를 기대하세요.

우리는 늙은 창녀가 말하는 사랑과 아름다움의 깊이를 배우게 됩니다.

 

  

 

양희경의 늙은 창녀의 노래 살짝 엿보기2 ^^  >> 작가 송기원의 말

 

'늙은 창녀의 노래'라는 저의 단편소설이 우연찮게 양희경씨에 의해 모노드라마가 되어 처음으로 관객들을 만나보게 된 지도 어언 10년 너머의 일이 되었습니다.

그때 '늙은 창녀의 노래'가 뜻밖에도 많은 이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아서 제 스스로 놀랐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지금에 와서 돌이켜 보면, 배우 양희경씨의 중후한 연기력과 인간적인 깊이, 그리고 무엇보다도 드라마 안에 나오는 몇 편의 시들을 맑고 아름다운 노래로 승화시킨 뛰어난 가창력이 그토록 많은 이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은 원동력이었음을 새삼스럽게 깨닫게 됩니다.

기실 '늙은 창녀의 노래'에 나오는 늙은 창녀는 소위 꽃값이라고 부르는 하루저녁 몸값 단돈 5천원에 손님을 맞는, 이땅에서 가장 낮고 천한 부류입니다. 그런 낮고 천한 여자가 당시 갖 40대 언저리의 나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헤매이던 저의 어둡고 퇴폐적인 정서와 만나 그야말로 소설 속의 주인공으로 살아난 것이지요.

갓 마흔으로 넘어오던 나이에서 저는 어느 여성잡지에 '작가 송기원의 뒷골목 기행'이라는 기행문을 연재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저는 동쪽 끝 거진에서 남쪽 끝 거문도에 이르기까지 이 땅의 여러 뒷골목을 헤매고 다니며 바로 그 뒷골목에 자리잡은 뒷골목 인생들을 만나, 때로는 술잔을 나누기도 하며 기꺼이 그들과 어울렸습니다.

그 뒷골목 인생들은 주로 날품팔이, 등짐장수, 하급선원, 술집작부, 기지촌의 양공주, 창녀 등으로 그야말로 계급적으로는 물론 도덕이나 윤리적으로도 천대받기 일쑤인  버림받은 인생들이었습니다.  

그런 버림받은 뒷골목 인생들이 저에게는 기이하게도 무슨 육친의 사이처럼 가깝고 친근하게 여겨지는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어제 만났다가 오늘 다시 만난 것처럼 전혀 낯설지 않고 반가워서 스스로도 놀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항상 제 자신이 살아낸 어떤 삶도 인정하지 못한 채 혐오하기만 하던 저로서는 그런 제 자신이 전혀 새롭게까지 여겨졌습니다.

'늙은 창녀의 노래'에 나오는 주인공인 늙은 창녀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저 아래 남도지방의 호남선 종착역 앞 히빠리 골목에서 벌써 스무 해를 넘게 몸만 팔면서 살아온 늙은 창녀가 저에게는 처음으로 제 자신이 누군가를 사랑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준 것입니다. 

그런 사랑의 가능성이 저의 소설이라면, 양희경씨는 필생의 연기를 통하여 사랑의 가능성을 사랑의 완성으로 한 단계 더 승화시켜준 것에 다름아닙니다. 만일 저의 작품이 양희경이라는 연기자를 만나지 못했다면, '늙은 창녀의 노래'는 영원히 사랑의 가능성으로만 남았을 터이지요.

양희경씨에게 다시한번 무한한 존경과 사랑을 바칩니다. 

 

 

 ***********************************************************

 

 

산하 엄마와 몇일전 같이 본 연극이다.

언제인가 단편 소설로 읽었던 기억이난다.

질펀한 하류인생의 모습이다.

대사중에" 여기도 사람사는 곳이여라우~~""하던

그대사가 가슴에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

그래... 그곳이 어느곳든 것이던간에  어떻게든 사람은 살아야 한다

죽을 때까지 다른 삶은 꿈도 꾸어 보지 못한체 .

그삶이 이세상 전부인양 그렇게 살다가 죽으리라  

결혼전 직장 사무실뒤 골목길에서  어린 처자들이

마약에 취한체 몸을 팔던.

다른 세상에 사람들 처럼 살던 모습이 생각나서 목이 메었다.

그들은 지금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을까?

순진 하고 예쁜 처자들도 있었던것 같은데.....

괜스리 내 감상에 젖어 두런 거려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