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16 - 폐백, 이바지 주문
폐백의 의미
예를 행할때 신부 쪽에서 준비하여 시부모님과 시조부모님께 드리는 음식
신부가 시부모님과 시댁의 여러 친족에게 처음으로 인사를 드리는 예를 현구고례라 하여
이 예를 행할 때 신부 쪽에서 준비하여 시부모님과 시조부모님께 드리는 음식을 폐백이라고 한다.
지방에 따라 또는 가풍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추와 쇠고기편포로 한다.
서울의 경우 시부님께는 편포 또는 육포, 밤, 대추, 엿, 술로 하며 시부님께는 닭, 대추와 밤으로 한다.
또 전라도에서는 대추와 꿩폐백을 하기도 하며 경상도에서는 주로 대추와 닭폐백을 올린다. 이북 지방에서는 폐백이 일반적이지 않다.
이는 혼례 때 신부집에서 오는 재물 을 받는 것을 수치로 여겼던 고구려 혼속의 영향이 아직도 내재한 탓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개성 지방의 혼례 음식은 매우 독특하다. 과거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번성했던 고려의 도읍지로서의 특성이 음식 문화에도 잘 드러나 있다.
남녀를 상징하여 2개를 쌓는데 그 높이나 지금이 장대하여 다른 지방에 비해 매우 화려한 느낌을 준다.
폐백음식
폐백닭은 찜통에서 달여 낸 찐 닭을 말려 실고추, 실백, 달걀지단 등으로 장식한다.
포는 쇠고기를 양념한 다진 뒤 타원형으로 빚은 편포와 얇게 저며 참기름을 발라 채반에 말린 육포로 여덟포씩 두 묶음으로 나눈어 청혼사지로 감고 기름종이로 덮은 뒤 보자기로 싼다.
구절판은 시아버지의 술안주로 마른 인삼, 불새우, 다식, 어포, 궂감, 문어포, 한과, 전복 등을 넣어서 꾸미며, 술은 법주로 한다.
대추는 흠이 없고 굵은 것을 청주로 씻어 설탕물에 하룻밤 재워 놓고 다음날 홍실에 대추를 꿰어 그릇에 쌓아둔다.
폐백 상차림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깔며 상은 놓고 방석 두 개를 놓으며,
상에는 홍색면이 겉으로 오도록 예탁보를 먼저 깐 후 대추는 시아버지 앞에 포는 시어머니 앞에 놓는다. 곁상에는 술과 술잔, 구절판을 함께 놓는다.
폐백 음식을 쌀 때는 청홍 보자기에 싸며, 포는 청색이 컨으로 나오게 싸고 대추는 홍색이 나오도록 하여 네 귀에 근봉지를 끼워 싸매고 아래로 늘어뜨려 잘 풀릴 수 있도록 한다.
폐백절차
폐백은 우리 전통 혼례의 한 부분이다. 원래 폐백은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치르고 나서
1∼3일이 지난 후 시댁으로가 친정어머니가 싸준 대추, 밤, 마른안주, 포등을 차려 놓고 시부모와 시댁식구들에게 처음으로 인사를 드리는 예식을 말한다.
요즘에는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올리므로 폐백음식을 폐백음식전문점에 주문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폐백을 올릴 때에는 식에 얽매이기 보다는 그 의미를 생각하며 마음을 다 하는게 중요하다.
1. 수모가 신부를 대신해서 먼저 시아버지에게 폐백을 올린다.
2. 폐백을 받고 난 시아버지가 며느리에게 덕담을 해주고 근봉을 푼다.
3. 신부는 수모의 손을 빌어 시어머니에게 육포가 들어있는 폐백을 드린다.
4. 수모는 신부를 대신하여 시어머니에게 폐백을 올린다.
5.며느리의 허물을 덮어준다는 뜻으로 폐백을 어루만진다.
6. 수모의 도움을 받아 육포를 들어 올린다.
7. 시아버지는 자손의 건강을 기원하는 대추를, 시어머니는 쇠고기에 양면을 해 말린육포를 폐백으로 받는다.
8. 시부모에게 술을 올리기 전에 수모는 안주를 시어머니에게 올린다.
9. 신부가 수모의 도움을 받아 시부모에게 술잔을 올리기 전에 절을 올린다.
10. 신부는 수모의 부축을 받아 4번의 절을 올린다.
11. 절을 마치고 난 신부는 수모의 손을 빌어 시부모에게 술을 따라 올린다.
12. 시아버지에게 수모가 신부를 대신하여 술을 권한다.
13. 시어머니에게도 수모가 신부를 대신하여 술을 권한다.
14. 시부모는 며느리가 준 술잔을 기쁜 마음으로 받아 마신다.
15. 술을 한 모금 마시고 난 시부모에게 안주를 권한다.
16. 시아버지가 덕담을 해 주면서 며느리의 치마폭에 대추를 던져 준다.
17. 며느리는 활짝 웃으면서 시아버지가 주는 대추를 치마폭에 받는다.
폐백을 올리는 범위
신부쪽 친지나 신부 부모님은 폐백을 받지 않고 시댁쪽으로는 5촌까지 예를 올린다.
폐백은 신란이 신부를 집으로 데려가 시댁에른에게 처음으로 예를 갖추어 드리는 인사이므로 신부측은 절을 받지 않는다.
요즘은 지방이나 집안에 따라 신부 부모님까지 폐백을 받는 경우도 있으나 흔하지 않다.
시댁 어른들 중 폐백을 드리는 범위로는 백숙부 내외, 시삼촌, 시고모, 순으로 3촌에서 5촌 당숙정도까지 예를 올리고
같은 항렬인 형제자매, 사촌까지 인사한다. 특히 결혼식장 폐백실에서 폐백을 올리는 요즘에는 신랑 신부의 폐백이 끝나고 나면
양가 상견례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는데 신부측 친지들은 폐백을 받지 않지만 상견례를 통해서 얼굴을 익히는 간단한 인사를 나눈다.
이바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구매할 것인가?
넉넉히 한달전 쯤에 주문하면 됩니다.
예식장에서 옵션으로 제시되는 폐백상품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구성보다 가격이 비싼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가격과 사용후기를 꼼꼼히 비교한 후에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음식의 질에 대해서는 사실 유무를 철저히 판단하여 비교하시기 바랍니다.
결혼전문동호회나 사이트의 제휴 업체를 이용하시면 보너스 혜택을 받을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